미사.종교음악

[스크랩] Charpentier,Pastorale de Noel / 성탄 목가 (牧歌)전곡 이어듣기

P a o l o 2018. 7. 1. 22:24

Charpentier,Pastorale de Noel

(Pastorale & In nativitatem)

샤르펜띠에 / 성탄 목가 (牧歌)

Marc-Antonie Charpentier 1643~1704


전곡 연속듣기
Pastorale sur la naissance de Notre
Seigneur Jésus Christ , H. 483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에서)
 

 01. Ouverture

 02. Scene 1 - Air Que Nos Soupirs (Air What Our Sighs)

 03. Scene 1 - Choeur Le Regne Du Peche (The choir Regne From Fishing)

 04. Scene 1 - Air Ecoutez Moy Et Choeur (And Air Listen Avg Choir)

05. Scene 1 - Ritournelle (간주곡)

06. Scene 2 - Air Regnez, Calme Profond (Air Regnez, Deep Calm)

07. Scene 2 - Choeur Qu'Entendons-Nous (Choir Qu'Entendons-Nous)

08. Scene 3,4 - Air Et Choeur De L'univers (Air Choir Of The Universe)

09. Scene 5

 10. Scene 6

 11. Scene 7 - Air Votre Tendresse Et Choeur (Air Your Tenderness And Choir)

 12. Scene 7 - Menuet Et Fin (And Menuet)

In nativitatem Domini Nostri Jesu Christi
Canticum , histoire sacrée , H. 414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찬양하라.)
 

샤르팡티에 (프랑스 작곡가) [Charpentier, Marc-Antoine]

1634 파리~1704. 2. 24 파리. 프랑스의 오라토리오 작곡가입니다. 프랑스의 작곡가 사전에 보면 샤르팡티에라는 작곡가가 두 명으로 나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오페라 루이스의 작곡가 Gustave Charpentier 와 마르크 앙뚜안 샤르팡티에입니다.

루이 14세 때 그 당시에 아주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음에도 잊혀진 프랑스의 작곡가중 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륄리를 압도하는 성원을 받고 있다고 하죠.

샤르팡티에는 이탈리아에서 회화를 공부했으며 자코모 카리시미 밑에서 작곡을 공부했습니다. 프랑스로 돌아와서 1680~88년 프랭세스 드 기즈(Princesse de Guise)의 음악 감독이 되어 그때부터 그에 관한 작품을 썼습니다. 그러나 제가 얼마 전 영화 ‘왕과 춤’에서 소개한 장 밥티스트 륄리에게 잘못 보여 그 자리에서 쫓겨났다고 합니다.

륄리와 헤어진 몰리에르와 <강제결혼 Le Mariage forcé〉·(1672 초연) 개정판의 음악을 작곡했으며, 〈상상병 환자 Le Malade imaginaire〉(1673)도 공동 작곡했습니다. 몰리에르가 죽은 후에도 1685년까지 파리의 국립극장 테아트르 프랑세에서의 연주곡을 계속 작곡했습니다. 영화 '왕과춤'에서 륄리의 작품으로 나오는 이 두 곡이 샤프팡티에곡이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들어보지 못해서 잘은 모르지만요..

1693년에는 코르네유의 작품에 곡을 붙인 그의 가장 위대한 작품 〈메데아 Médée〉를 발표했습니다. 1692년에는 오를레앙 공의 작곡교사가 되었으며 1698년에는 파리의 생트샤펠의 음악감독이 되었습니다.

예수회 파리 지부를 위해 작곡한 종교적 비극에서 그는 프랑스의 오라토리오를 확립했습니다. 〈방탕한 아들 Filius prodigus〉·〈아브라함의 제사 Sacrificium Abrami〉와 대표작 〈성 베드로의 부인 Le Reniement de saint Pierre〉 등의 오라토리오에서 그는 카리시미의 이탈리아 양식과 프랑스의 양식을 성공적으로 결합했습니다. 그의 작품에는 서정적 분위기, 숙련된 대위법적 처리, 화성적 분위기, 화성적 재료의 감각적인 사용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오라토리오와 무대음악(16개의 오페라와 다수의 패스토랄) 외에도 그는 12개의 미사곡과 왕세자의 예배당을 위해 작곡한 합창·독창곡, 오케스트라를 위한 정교한 모테토, 테 데움, 마그니피카트 등의 종교음악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우리 누리꾼들에게 떼데움외에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으니 안타깝습니다.


출처 : ♣ 이동활의 음악정원 ♣
글쓴이 : 지광희 원글보기
메모 :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