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mphony

[스크랩] Bruckner / Symphony No.1 in C minor

P a o l o 2018. 1. 8. 20:54
Bruckner, Josef Anton, 1824 ~1896 Bruckner, Josef Anton, 1824 ~1896
의 교향곡 1번 C 단조
Symphony No.1 in C minor
를 감상하겠습니다.

브루크너는 만사가 느릿느릿한, 중국 사람을 빗대어 말할 때 흔히 쓰는 '만만디'라는 단어가 꼭 어울리는 음악가였다. 음악을 본직으로 삼기로 마음먹은 것이 27세, 교향곡이나 악기법을 배우려고 키츨러라는 선생의 문을 두드렸을때가 37세였으니 말이다. 음악도 마찬가지이다. 제1악장에서조차 규모가 크고 장중하며 진행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브루크너에게 빈 사람들은 '아다지오 콤포니스트(느릿느릿한 작곡가)'라는 별명을 붙였다.

그는 일생을 깨끗한 독신으로 보내면서 어린애와도 같은 천진무구함으로 일관했다. 물질욕이 없고 일상 생활은 검소했으며 늘 머리를 짧게 깎고 다녔다. 형편 없는 촌뜨기 사투리에 헐렁한 옷을 입고, 아는 것이 많은 도시인들을 항상 두려워했다. 상부 오스트리아의 한촌 안스페르덴에서 학교 교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고 성 프롤리안 수도원의 아동 합장대원이 되었다. 32세때 린츠의 돔 전속 오르간 주자가 되기 전까지 15년 간은 마을 초등학교 교원직에 있으면서 수도원의 보조 오르간 주자로서 하느님에게 봉사했다.

1871년, 47세의 나이로 그는 런던 국제 오르간 경연대회에서 1등의 영광을 안음으로써 오르간 연주와 즉흥연주의 명성을 전유럽에 떨쳤다. 세계 일류의 오르간 연주자로서의 그의 지위는 60세까지도 확고했다.

그의 교향곡은 오르간이 끼어 있지 않아도 그 울림이 왠지 오르간처럼 들린다는 평도 있거니와 근거가 없는 말은 아니다. 믿음이 깊은 카톨릭 신자였으므로 초기 작품에는 단연 종교음악이 많지만 슈베르트의 후기 양식에 의해 작곡한 가곡도 더러있다.

그는 자기 작품에 대해 소심할 정도로 신중했다. 그의 교향곡 가운데〈작품 0번〉이라는 것이 있다. 그는 자신의 교향곡 번호를 제 1번부터 제 9번까지 붙였는데, 어느날 제1번보다 먼저 습작처럼 썼던 교향곡 악보를 서랍에서 발견했다. 다시 보니 그 작품도 괜찮다 싶어 번호가 붙은 교향곡 대열에 집어넣기로 마음먹고 보니 이미 통용되고 있는 번호를 하나씩 뒤로 미루는 것도 이상해, 고민 끝에 결국 제0번이라는 음악사상 전무후무한 번호를 붙였다는 것이다. 이 한 예에서도 융통성이 없는 그의 성격을 볼 수 있다.

요사이는 세계 주요 국가에 브루크너 협회가 생길 정도로 그는 위대한 작곡가 대접을 받고 있지만 살아생전에는 그렇지 못했다. 40세 때 제1번 교향곡을 발표해 냉대를 받았고 50세 때 제2교향곡은 악평을 받았으며 제5, 제6, 제9교향곡은 어느 악단도 연주해 주지 않아 작곡가인 그 자신도 생존 중 실연을 직접 들어보지 못했다. 60세 때의 제7교향곡에서 비로소 승리할 수 있었으니 얼마나 길고 험한 길이었는가. 작곡가로서 그의 명성이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그가 세상을 떠난 지 20년이나 지난 제1차세계대전 후 부터였다.

소년 시절 사랑했던 한 소녀를 평생 잊지 못해 독신으로 지내면서 오로지 하느님을 섬기며 구도자와도 같은 형극의 길을 스스로 걸은 작곡가였기에 그의 음악에는 깊은 종교심이 배어 있다. - <글 출처:김상헌 프로덕션>

Symphony No.1 in C minor

제 1악장(Allegro) 저음 현이 행진곡 리듬을 긁어주면서 바이올린으로 제1주제를 연주하면서 시작된다. 말러 교향곡 6번의 도입부를 연상시킨다고도 하는 데 느낌이 좀 다른 것 같다. 현이 서정적인 제2주제를 연주하고 드디어 바그너의 탄호이저 서곡을 연상시키는 3주제가 나온다. 처음 들었을 때 브람스의 교향곡 1번 4악장의 코랄주제를 만났을 때처럼 감동적이었는 데 이 작품의 초연당시 린츠의 청중들은 별로 안 그랬던 모양이다. 이 작품은 초연에서 크게 실패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현으로 하향음을 화려하게 그리는 경과구도 귀를 즐겁게하는 등 전체적으로 지루할 틈없이 1악장을 마무리한다.

제 2악장(Adagio) 썩 대중적이지는 않다. 뭔가 할말이 있지만 뜸을 들이는 듯한 도입부에 이어 호흡이 긴 주제가 이어진다. 현의 아르페지오를 타고 주제가 나오면서 클라이맥스를 구축하는 부분에 이르면 약간의 지루함을 털어낼 수 있다. 그 후로는 바이올린과 목관이 주로 선율선을 이어받으며 이어 나간다.

제 3악장 (Scherzo. Schnell) 강렬한 주제가 론도처럼 나타나고 사이에 무곡 주제가 조와 악기를 바꿔가며 나온다. . 리듬을 유지하면서 조를 조금씩 바꿔가며 악장을 마무리하는 부분도 이 곡의 멋진 부분중 하나다.

제4악장(Finale. Bewegt, feurig) 초연 당시 청중의 외면을 가져온 주범이라는 누명?까지 쓰고 있고 많은 해설서에서도 산만한 느낌을 준다고 되어있다. 실제로 좀 산만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1주제와 3주제를 팡파르로 만들다보니 2주제가 밋밋한 경과구 처럼 되어 버렸고 가끔 브루크너 특유의 쉼표를 활용해서인지 곡이 단절되는 느낌을 받는다. 특히 팡파르 끝나고 쉼표 후에 2주제가 나올 때는 그런 것 같다. 가장 좋아하는 부분은 마지막 부분인데 리듬이 비슷해서 그런지 가끔 브람스의 하이든 주제에 의한 변주곡의 피날레를 연상시킨다. 음들을 쌓아가면서 피날레를 구축할 때는 앞의 산만한 느낌과 관계없이 박수를 칠 준비를 하지 않을 수 없다.



1악장 (Allegro)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Cond
사용판본:린쯔판본,(원전판) 1953년 Nowak 편집 / 1981년 1월26, 27일 녹음


2악장 (Adagio)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Cond
사용판본:린쯔판본,(원전판) 1953년 Nowak 편집 / 1981년 1월26, 27일 녹음


3악장 (Scherzo. Schnell)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Cond
사용판본:린쯔판본,(원전판) 1953년 Nowak 편집 / 1981년 1월26, 27일 녹음


4악장 (Finale. Bewegt, feurig)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Cond
사용판본:린쯔판본,(원전판) 1953년 Nowak 편집 / 1981년 1월26, 27일 녹음


Symphony No.1 in C minor
Beethoven, Ludwig van (1770-1827 G.)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Cond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김용 원글보기
메모 :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