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델스존 / 교향곡 4번 <이탈리아> Symphony No.4 in A major, Op.90 'Italienische' 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1847
멘델스존 특유의 화창함과 활기로 가득한 교향곡
음악사에 길이 남는 명곡들 중에는 여행을 통해 영감을 받은 작품들이 꽤 있다. 도시나 나라의 이름이 부제로 붙은 작품들은 대부분 작곡가의 여행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은데, 멘델스존의 [교향곡 제4번 ‘이탈리아’]도 작곡가의 이탈리아 여행으로부터 시작된 작품이다. 멘델스존은 여행을 좋아했던 음악가였다. 집안 환경도 부유해서 마음껏 여행을 다닐 수 있었기에 그는 일생동안 세계 각지의 많은 곳에 가볼 수 있었다. 멘델스존이 특히 마음에 들어 했던 곳은 이탈리아에서도 로마였다고 하는데,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이탈리아 교향곡] 역시 멘델스존이 로마에 머물고 있을 당시에 착수된 작품이다. 멘델스존이 이탈리아 여행 중에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멘델스존이 이탈리아에 얼마나 매혹돼 있었는지 알 수 있다. “나는 지금 새로운 힘을 얻어 작곡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교향곡]의 많은 부분 작곡이 완성되었는데, 아마 이 작품은 내가 작곡한 작품들 중에서 가장 성숙한 작품이 될 것입니다.” Otto Klempe
<전악장 듣기>
제4악장 Saltarello(Presto) 4악장은 멘델스존이 작곡한 음악 중에서는 꽤 격하고 긴박감에 넘치는 음악이다. 멘델스존의 작품들은 대개 지나치게 극단으로 흐르는 일이 드문데 [이탈리아 교향곡] 4악장에서만큼은 ‘리듬의 신격화’라고 불리는 베토벤 [교향곡 7번]의 격렬함에 가까이 다가서고 있다. 멘델스존은 4악장 악보에 ‘살타렐로’라고 적어놓았는데, 이것은 13세기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추던 빠른 춤곡이다. 살타렐로는 공중으로 빠르게 도약하면서 추는 춤이니만큼, [이탈리아 교향곡] 4악장 앞부분을 들어보면 사람들이 펄쩍펄쩍 뛰면서 춤을 추는 느낌이 든다. <이탈리아 로마를 흐르는 테베레강과 로마 풍경>
《교향곡 4번 A 장조 “이탈리아”》(Op. 90)는 펠릭스 멘델스존이 1831년부터 1833년 사이에 작곡한 교향곡이다. 1829년부터 1831년 유럽 여행을 했던 그가 이탈리아의 풍경과 분위기에 대한 인상을 바탕으로 작곡하였으며 1833년 런던의 로열 필하모닉 소사이어티의 연주회에서 작곡가 자신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그러나 이후 멘델스존은 이 작품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을 개정하게 되는데,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짹 악장은 새로이 쓰기도 했다. 멘델스존의 생전에는 이 작품이 출판된 바 없으며, 그의 사후 4년 뒤인 1851년에 초고가 아닌 개정본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두 대의 플룻, 두 대의 오보에, 두 대의 클라리넷, 두 대의 바순, 두 대의 호른, 두 대의 트렘펫, 그리고 팀파니와 현악기로 편성된다. 다음과 같이 네 악장으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연주 시간은 약 1 시간 정도이다. The Symphony No. 4 in A major, Op. 90, commonly known as the Italian, is an orchestral symphony written by German composer Felix Mendelssohn.
제1악장 Allegro vivace 로마로 참회의 여행을 떠나는 순례의 합창을 방불케 하는 악장으로, 맑고 깨끗한 기분에 넘쳐 있다.
3악장에서 멘델스존은 스케르초인지 미뉴에트도 아닌 애매모호한 음악을 제시한다. 3악장은 보통 빠르기의 미뉴에트나 빠른 스케르초로 작곡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멘델스존은 [이탈리아 교향곡] 3악장에서 스케르초도 미뉴에트도 아닌 어중간한 템포로 유연한 멜로디를 선보이며 낭만적인 정서를 강조했다. ‘트리오’라고 불리는 중간부분에서는 호른이 경쾌한 리듬을 선보이면서 목가적인 분위기를 전해준다. Symphony No.4 in A major, Op.90 'Italienische' hr-Sinfonieorchester (Frankfurt Radio Symphony Orchestra) «
이탈리아의 밝은 태양을 연상시키는 찬란함 영감에 가득 찬 상태에서 작곡된 [이탈리아 교향곡]은 멘델스존의 성숙기 교향곡들 중 네 번째로 출판되어 ‘제4번’이란 번호를 얻게 되었으나 작곡 순서로는 세 번째다. 멘델스존의 성숙기 교향곡 다섯 곡 중에서도 오늘날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이탈리아 교향곡]은 1833년 5월 13일에 작곡가 자신의 지휘로 런던에서 이탈리아 교향곡이 초연될 당시에도 영국 언론으로부터 “영감이 번뜩이는 찬란한 작품”이라는 극찬을 받았다. 밝고 찬란하게 시작하는 1악장의 도입부와 13세기 이탈리아 나폴리의 춤 ‘살타렐로’의 리듬이 소용돌이치는 4악장을 들으면 절로 이탈리아의 밝은 태양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정작 멘델스존 자신은 이탈리아의 음악 자체는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독일음악에 비해 지나치게 밝고 논리성이 부족한 이탈리아 음악이 그의 성향에 맞지 않았던 모양이다. 게다가 그는 이탈리아 음악가들이 하이든이나 베토벤 등 독일 관현악 명곡들을 별로 연주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스러워했다. 그래서 그는 이탈리아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이든의 [천지창조]를 연습하며 독일 음악을 이탈리아에 전파하려고 시도하기도 했으나 그에게 돌아온 것은 음악이 너무 어렵다는 단원들의 불평뿐이었다. 이탈리아인들은 독일 음악을 어렵게 생각했고 멘델스존은 이탈리아의 음악이 잡다하다 느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멘델스존이 걸작 [이탈리아 교향곡]을 작곡할 수 있었던 것은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경치와 찬란한 날씨 덕분이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이탈리아의 예술 그 자체가 아니라 폐허나 경치, 그리고 자연의 화려함 속에서 음악을 찾아냈다”
|
'Sympho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hler / Sympphoony No.10 중 Adagio (0) | 2017.08.27 |
---|---|
[스크랩] 베토벤 / 교향곡 5번 (0) | 2017.08.25 |
[스크랩] Wolfgang Amadeus Mozart / Symphony No. 42 in F major, K. 75 (0) | 2017.08.23 |
[스크랩] Haydn, Franz Joseph / Symphony No.21 in A major (0) | 2017.08.22 |
[스크랩]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6번 비창 (0) | 2017.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