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미유 생상스(프랑스어: Camille Saint-Saëns, 영어: c. saens-sain, 1835년 10월 9일 ~ 1921년 12월 16일)
프랑스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지휘자, 피아니스트이며, 특히 동물의 사육제, 죽음의 무도, 삼손과 데릴라, 하바네즈,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 교향곡 제3번으로 알려져있다. 섬세한 음색과 풍요로운 악기구성으로 유명하다.
정부 서기였던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탄생한 후 3달 만에 죽었다.
절대음감의 소유자였던 그는 2살 때 피아노를 치기 시작하였으며 곧바로 작곡을 시작할 수 있었다.
1839년 3월 22일로 날짜가 기록된, 최초로 작곡한 곡인 피아노를 위한 작은 단편은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보관 중이다.
그의 조숙함은 음악에만 제한을 두지 않았다. 그는 3살 경에 읽고 쓸 줄 알았으며 7살 때는 라틴어를 완전히 터득했다.
12세 때 모짜르트, 헨델 등의 작곡가들의 곡으로 연주회를 가졌다. 13세에 파리 음악원에 들어갔고, 18세에 《제1교향곡》을 썼다.
28세에 마들레느 교회에서 오르간을 쳤으며, 29세에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들중 하나인
《동물의 사육제》 와 《제3교향곡》을 작곡하였다.
36세 때에는 '국민 음악 협회'를 설립하여 프랑스의 음악을 일으키는 데 힘썼다.
46세에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
그의 음악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교향 작품으로 기악을 중요시하였으며, 형식·편성·대위법에 있어서 우수하였다.
문학·과학 등에도 작품으로 관현악곡 《죽음의 무도》 《동물의 사육제》, 가극 《삼손과 데릴라》,
그 밖에 교향곡·협주곡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교향곡 3번》은 오르간을 섞어 넣어 색다르다.
-출처j;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 3번‘은 비교적 자주 연주되고 있다.
대중적 감성에 호소하는 아름다운 선율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생상스는 비록 낭만주의 작곡가였지만, 개인적 풍부한 정서를 바탕으로....
고전주의에 가까운 튼튼한 구성과 형식을 갖추고 있다.
[악장별]
제1악장(Allegro non troppo)
* 소나타 형식...이지만, 상당히 자유로운 구성을 선보이고 있다.
제2악장(Andantino quasi Allegretto)
간략한 서주에 이어, 출렁이는 리듬이 마치 뱃노래 같은...지극히 매혹적인 악장이다.
제3악장(Molto moderato e maest)
* 론도 형식
바이올린이 론도의 주제를 선창하고, 현악기가 코랄풍의 다른 주제를 들고 나온다.
독주 바이올린의 눈부신 패시지(passage;연결 악구)가 환상적이며,
코다는 대단히 화려 하다.
'Violin.Viol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벌의 비행, 칼의 춤. 찌간느 Violin 박지헤 (0) | 2016.11.14 |
---|---|
[스크랩] Sonatina for Violin & Piano No.1 in D major, D.384 (0) | 2016.11.14 |
[스크랩] 바흐 / 무반주 첼로모음곡 4번 E♭, BWV 1010 Cello 피에르 푸르니에 (0) | 2016.11.10 |
[스크랩] 멘델스존 /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Op.64 (0) | 2016.11.05 |
[스크랩] 파가니니 / Violin Concerto No.4 in D minor, MS.60 (0) | 2016.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