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c

[스크랩] Bach / Brandenburg Concerto No.3 G Major) BWV.1048

P a o l o 2016. 1. 9. 12:54


 

 





바흐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3번

Brandenburg Concerto No.3 G Major, BWV.1048

 Bach, Johann Sebastian


  


Münchener Bach-Orchester
Karl Richter, conductor
Recording: München, Hochschule für Musik, 1/1967 


전곡 연속듣기

 


1악장 Allegro Moderato



2악장 Adagio


 

3악장 Allegro

 


제3번에서는 독주 악기군과 합주부와의 구별 없이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각3부 및 통주 저음이라는 악기 편성으로 관악기를 갖지 않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실내악적인 조금 순수한 성격으로 되어 있다.

전6번 가운데서 제5번 다음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제1악장은 먼저 강력한 주제가 3부의 바이올린에 의해서 유니즌으로 연주되어 시작되며, 이어서 각 악기가 이 주제의 소재를 사용한 멜로디를 연주하여 곡이 퍼져나간다.

그리고 두 개의 화음 밖에 쓰여져 있지않은 한 마디의 아다지오 부분(이것을 제2악장으로 보는 핮자도 있다)을 삽입하여 제2악장으로 이어져 나간다. 또한 이 부분은 즉흥연주가 의도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제2악장은 빠른 움직임이 있는 주제가 제1바이올린으로 부터 저음 현으로 순차적으로 계승되어 가는 스피드감이 있는 악장으로 전반과 후반이 각각 반복되는 형식을 가졌다.

 

현악기만으로 연주되는 곡인데, 6개의 협주곡 중 가장 많이 연주된다.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가 모두 3부로 나뉘어 세 Group으로 되어 있다. 거기에 콘트라바스와 쳄발로의 반주가 가담한다. 편성도 적고 2개의 악장이지만 바하의 정신이 잘 반영되었다.  콘체르토 그로소로서는 변칙적인 곡이다. 독주부와 합주부의 구분이 없는 것이다. 현악파트를 3개의 그룹 -3대의 바이올린, 3대의 첼로, 3대의 비올라 -으로 나뉘어 연주하고 여기에 쳄발로의 통주저음이 가담한다.






브란덴부르크 거리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1718년 레오폴트공은 궁정악단의 6인 음악가들을 거느리고 바덴의 온천으로 여행을 갔다. 그리고 이듬해 대공은 그 여행을 되풀이했다. 바하는 두 번의 여행 다 참여하지 않았다. 따라서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이라는 6곡의 협주곡을 바쳤던 음악애호가 브란덴부르크 공을 만난 때가 두 여행기간의 한쪽이었으리라 짐작된다.

바하가 유달리 칭찬했다고 알려진 이탈리아인은 알비노니었다. 아마도 비발디와 알비노니와 같은 베네치아 거장들로부터 협주곡을 구성하는 원동력을 배웠으리라 생각되어진다.  협주곡의 구성은 대단히 단순하다. 주요 주제는 몇 번이나 나타나지만, 모두가 언제나 완전한 형태로 재현되진 않는다.


주제는 먼저 으뜸 조로 나타나며, 다시 그 근친 조로 나타난다. 그 사이에는 독주자 또는 독주악기군을 위한 에피소드가 숱하게 흩어져 있다. 이를테면 제 2번 BWV1047의 제 1악장은 독주악기에 트럼펫, 리코더(현대 악기로 보면 플롯), 바이올린, 오보에라는 독특한 독주악기군을 갖추고 있다. 선율과 반주에 의한 2중 주제는 상당히 다채롭고, 그에 따라 4개의 독주 악기들은 제각기 자기 주장을 할 수 있다. 또한 그로 인하여 독주군은 무한하리만큼 다채로운 구조를 갖추고, 구조와 주제를 전개하여 현악의 오케스트라와 결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은 동시에 빈 고전파의 수법을 미리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서두의 악절에서 하나의 동기가 만들어지고, 그것이 갖가지 조성을 가지고 제1바이올린, 제 2바이올린, 비올라와 유니즌으로 나타나게 된다. 제 5번 BWV 1050에 의해 바하는 실질적으로 바이올린과 플롯이 들어가는 쳄발로 협주곡을 안출해내게 된다.

<브란덴부르크 방백의 궁전>

쾨텐 시대
(1717~1723) 바하의 쾨텐 시대는 그가 최후의 임지 라이프찌히로 떠나기까지 6년간 계속되었다. 이 곳 영주 레오폴트 후작은 특히 바하와 음악을 사랑했고, 궁정에는 18명의 뛰어난 악단이 있었다. 바하의 대단히 많은 중요한 기악 작품이 쾨텐 시대의 소산인데, 또 하나의 사건은 1720년에 아내 바르바라가 죽고, 이듬해 말에 15살 아래인 안니 막달레나와 재혼한 일이다.


이 후처는 13명의 자식을 낳았다. 사진은 쾨텐의 궁전.

6곡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쾨텐 시대의 대표적인 명작의 하나인데, 실제로는 쾨텐에서 연주하고 있던 것을 방백(方伯)에게 바쳤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어 있다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19세기 중엽까지 출판되지 않았으나, 바하의 자필악보는 키른베르거의 손을 거쳐 베를린 국립도서관으로 넘어갔다. 아울러 많은 필사악보가 18세기 후반에 나왔고, 그중 가장 오래된 것은 1755년의 날짜가 적힌 제 3번 BWV 1048의 모음악보다.합주협주곡의 거대한 영역 안에서 이들 6곡과 어깨를 겨룰 작품은 헨델의 OP6밖에 없다. 바하의 독주협주곡은 바이올린 독주용에 2곡, 그리고 2개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이 1곡으로 통틀어 3곡뿐이다. 이들 모두가 각기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데, 실로 고고한 존재라 하겠다.

바하는 2개의 선율악기와 통주저음을 위한 트리오 소나타를 거의 남기지 않았으나(바로크 시대에는 상당히 보편적으로 쓰이는 스타일이었다. 고전의 현악 4중주와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는 그의 작품 가운데 상당수가 '두 사람의 연주가를 위한 트리오'라고 해야 할 장르에 들어간다. 이들 트리오 소나타 가운데 몇 개는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트리오 소나타 가운데 똑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들 소나타, 특히 바이올린이 들어가는 소타나는 연주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가운데 몇 작품은 실내악 중에서도 가장 위대한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고전파 시대의 현악 4중주곡에 뒤떨어지지 않는다.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독주음악은 바하 사대를 훨씬 앞질러 이미 작곡되고 있었다. 바하의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BWV 1001-6은 쾨텐 시대의 작품이었다. 그리고 6곡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도 BWV1007-12와 마찬가지로 바하 자신이 이들 바이올린 작품을 연주했을 터이지만, 궁정악단의 탁월한 연주자들을 위해 쓰여진 것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리고 어느 작품이든 2개의 악기에 관해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던 바하 이외의 어느 작곡가도 쓸 수 없는 걸작이었다.

그러나 놀랄만한 절약과 암시의 모범이라고 할 이들 작품은 제대로 이해를 얻지 못했다. 오랫동안 이 작품들은 일종의 교본으로서의 구실을 해 왔다. 그러다가 멘델스존과 슈만과 같은 위대한 거장들마저도 이들을 완성하여 연주에 적합하도록 피아노 반주를 붙이기도 했다.
이처럼 무익한 행위는 바이올린 작품에 한정되어 있었는데, 첼로의 모음곡에 이르면, 카잘스가 20세기초에 재발견할 때까지 거의 잊혀진 채로 있었다.

 


 






출처 : 관악산의 추억(e8853)
글쓴이 : 이종철 원글보기
메모 :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