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er noster in F major, S 41 No. 1
| |
리스트 / 주님의 기도Sacred Choral Music
Franz Liszt (1811 - 1886)
No.3 - Pater noster in F major, S 41 No.1 |
| |
|
Pater Noster III (I & II), for chorus & organ (or piano) in F major, S. 41/1 (LW J26/1) 3:44
Conductor Diego Fasolis Genre Hymn / Romantic Period Date Written 1869 Ensemble Italian Switzerland Radio/TV Chorus Language Latin Recording Date 6/4/1993 | |
1861년 은퇴 후, 젊은 시절의 방탕한 생활을 후회한던 리스트는 1865년에는 로마로가서 삭발식을 갖는 것을 비롯하여 로마 캐토릭의 4단계 말단직의 성직자 생활을 수료할 정도로 깊은 신앙심으로 캐토릭에 심취하였다. 1869년부터는 "수도사 리스트" 로 불리게 된 그는 로마와 바이마르 등에서 시간을 보내며 아베 마리아를 비롯하여 많은 종교 음악을 남겼는데, Pater nosster" 도 이 당시에 남긴 합창곡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216DE3D4D271EC701)
|
Pater noster(라틴어); 파테르 노스테르 主祈禱文
Lord's Prayer, (라)Oratio Dominica, Pater Noster (라틴어로 '우리 아버지'라는 뜻)
예수가 제자들에게 가르친 기도. Our Father
모든 그리스도교도들이 공동예배에서 사용하는 주요기도문이다. 〈신약성서〉에 나오는 주기도문은 2가지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루가의 복음서〉 11장 2~4절로서 보다 짧고, 다른 하나는 〈마태오의 복음서〉 6장 9~13절로서 좀 더 길다. 두 복음서 모두에서 주기도문은 어떻게 기도하는가에 관한 모범으로 제시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루가의 본문이 원문에 더 가깝고, 마태오의 본문에만 있는 구절들은 예배문이 첨가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주기도문은 예수 시대의 유대교적 바탕에서 나온 다른 기도문과 유사하며 유대교와 공통되는 3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찬양, 간구, 다가올 하느님의 나라에 대한 갈망이 그것이다. 주기도문은 도입문과 7가지 간구로 이루어져 있다. 공동번역성서의 주기도문은 다음과 같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온 세상이 아버지를 하느님으로 받들게 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소서.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양식을 주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잘못한 이를 용서하듯이 우리의 잘못을 용서하시고 우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성서학자들은 주기도문을 가르친 예수가 무엇을 의도했는가에 관해 의견을 달리한다. 어떤 학자들은 주기도문을 인간이 땅 위에서 실제로 겪는 경험을 가리키는 '실존적' 의미로 해석하고, 어떤 학자들은 다가오는 하느님의 나라를 가리키는 '종말론적' 의미로 해석한다. 주기도문은 어느 쪽으로도 해석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번역이 있고 번역상의 문제도 있어 확실한 의미를 결론지을 수 없다.
가령 '필요한 양식'이라는 말의 경우, '빵'을 수식하는 그리스어 '에피우시온'(epiousion)은 그리스어 문헌들을 찾아보아도 오직 이 구절에만 나오는 낱말이다. 이 낱말은 '내일을 위한'이란 의미를 가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양식을 주시고"는 '오늘 우리에게 다가올 하늘나라 잔치상을 앞당겨 베풀어 주소서'라는 종말론적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에티오피아어 번역본과 분실된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에 '미래의 빵'이라는 귀절이 나온다는 히에로니무스의 언급은 이러한 해석을 지지한다.
| | | |